찬바람 불어오는 가을 환절기-
안구건조증, 결막염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서울부산 밝은세상안과입니다.
계절이 바뀌면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벌써 9월 말이기도 하네요 : )
이때 쯤이면 피부가 예민하신 분들은 특히 조심해야 할 시기일 텐데요.
피부 뿐만 아니라 눈에도 안구건조증, 결막염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 안내 드립니다.
나도 혹시 안구건조증?
최근에는 계절적인 이유가 아니더라도 눈을 혹사시키는 생활습관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종일 PC로 업무를 보거나,
책을 많이 읽는 학생들, 오랜 스마트폰 사용 등 근거리 작업을 집중해서 오래 하다보면
눈 깜빡임이 적어지면서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본인이 건조증인지 모르는 경우도 많은데요. 아래 증상을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1. 눈이 뻑뻑하고 침침하다.
안구건조증, 결막염 조심하세요!
안녕하세요. 서울부산 밝은세상안과입니다.
계절이 바뀌면서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제법 쌀쌀해졌습니다.
벌써 9월 말이기도 하네요 : )
이때 쯤이면 피부가 예민하신 분들은 특히 조심해야 할 시기일 텐데요.
피부 뿐만 아니라 눈에도 안구건조증, 결막염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 안내 드립니다.
나도 혹시 안구건조증?
최근에는 계절적인 이유가 아니더라도 눈을 혹사시키는 생활습관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종일 PC로 업무를 보거나,
책을 많이 읽는 학생들, 오랜 스마트폰 사용 등 근거리 작업을 집중해서 오래 하다보면
눈 깜빡임이 적어지면서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본인이 건조증인지 모르는 경우도 많은데요. 아래 증상을 한 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 시야가 뿌옇고 겹쳐 보이거나 흔들려 보인다.
3. 눈이 자주 시리고,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
4.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까끌거리고 이물감이 느껴진다.
5. 햇빛에 눈이 심하게 부시고 아침, 저녁무렵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6. 눈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실 모양의 끈끈한 눈곱이 생긴다.
안구건조증 완화를 위해서는
알레르기 결막염의 원인은 뭘까?
알레르기 결막염은 원인균 없이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해 결막염이 발생되는 안질환입니다.
한가지 원인보다는 2, 3가지 원인이 복합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꽃가루, 화장품, 비누, 샴푸, 먼지, 곰팡이, 집먼지, 음식물, 화학성분 등이 원인이 됩니다.
가을에도 꽃가루 주의해야 하니 외출, 나들이 시 유의해 주세요.
알레르기 결막염 예방 Tip
3. 눈이 자주 시리고, 바늘로 콕콕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
4.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까끌거리고 이물감이 느껴진다.
5. 햇빛에 눈이 심하게 부시고 아침, 저녁무렵에 증상이 더 심해진다.
6. 눈이 쉽게 피로해지거나 실 모양의 끈끈한 눈곱이 생긴다.
안구건조증 완화를 위해서는
1.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절한 실내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환기를 자주 시켜줍니다.
2. 평소 물을 자주 마십니다.
3. 눈물의 증발을 막기 위해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여 줍니다.
4. 컴퓨터, 독서와 같은 근거리 작업은 50분마다 5~10분 정도 눈 휴식을 취해줍니다.
5.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수시로 점안해 줍니다.
6. 누점폐쇄술을 통해 눈물이 빠져나가는 구멍을 막아준다.
알레르기 결막염의 원인은 뭘까?
알레르기 결막염은 원인균 없이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의해 결막염이 발생되는 안질환입니다.
한가지 원인보다는 2, 3가지 원인이 복합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꽃가루, 화장품, 비누, 샴푸, 먼지, 곰팡이, 집먼지, 음식물, 화학성분 등이 원인이 됩니다.
가을에도 꽃가루 주의해야 하니 외출, 나들이 시 유의해 주세요.
알레르기 결막염 예방 Tip
1. 알레르기 결막염의 가장 큰 특징은 가려움증으로,
가려움증이 심한 경우에는 얼음을 얇은 수건에 싸서 눈에 냉찜질 or 찬물로 눈 주위를 씻어주세요.
2. 충혈이나 부종 때문에 약국에서 안대를 사서 착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안대를 자주 갈아주지 않을 경우
안대 안쪽 면의 거즈가 눈물 및 분비물에 오염되어 2차 세균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알레르기 비염 등의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 함께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담배'를 피해주세요.
4. 항히스타민제를 먹는 약으로 복용하는 경우, 술을 마시게 되면
항히스타민제의 중추신경 억제효과를 증폭시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눈 관련 상담을 원하시는 분들은 포스팅 상단의 <전화상담신청> 메뉴를 이용해 주세요.
'뉴스&이벤트 > 밝은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위한, 모두를 위한 행복해지는법 6가지 (0) | 2013.09.27 |
---|---|
눈건강을 위해 지켜야할 생활습관 5가지 (0) | 2013.09.26 |
[비문증 증상] 눈 앞에 날파리가 있는 것 같아요 (2) | 2013.09.25 |
안과 안에 DNA 유전자 연구소가 있다? (0) | 2013.09.24 |
[눈건강 정보] 안압이라는 것은 무엇인가요? (0) | 201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