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아이들의 시력 검사를 할 때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직 글자에 대한 이해나 그림에 대한 이해가 조금 큰 아이들이나
성인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잘 보임에도 불구하고 시력 검사를 잘못해서
학교에서 시력이 안 좋은 아이로 결과가 나올 때가 간혹 있습니다.
그래서 칠판 글씨가 잘 안보인다거나 멀리 있는 것이 안보인다고 하면
바로 안과를 찾는 것이 좋지요.
앞이 잘 안보인다고 하는데,
아이가 멀리 있는 것이 잘 안보인다고 했을 때
알레르기 같은 질환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시력이 저하된 경우가 있고
잠깐동안만 나타나는 근시, 가성근시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가성근시인데 잘 보이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안경을 계속 착용하게 된다면 정말 근시 그대로 굳어지게 되지요.
가성근시란?
가성근시는 오랜 시간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의 모니터 같이 눈에 무리를 주게 되는 행동을 하게 되었을 때
눈 근육이 가까운 것을 보는 것에 익숙해져서
계속 수축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을 뜻합니다.
만약 이때에 먼 곳을 보려고 하면 흐릿하게 보이게 되지요.
아이들 중에 무의식적으로 텔레비전 가까이에서 시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에 실제로 시력이 떨어진다기 보다
가까운 곳에서 계속 빛을 보다 보니 가성근시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가까이에서 TV를 보게 되면 정말 시력이 나빠지는지에 대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가성근시가 발생하게 된다면
조절마비제 등 근육을 이완시키고 시력을 측정했을 시에
실제 시력은 문제가 없게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눈
신체 중 가장 약하고 예민한 곳은 바로 눈입니다.
성인 역시도 약한 눈인 만큼, 아이들의 눈은 더욱 예민합니다.
특히 아이들이 한창 클 무렵인 6살에서 9살 사이에는
눈도 함께 성장을 하게 됩니다.
이때 근시, 혹은 원시 같이 굴절 이상에 대한 것이 많이 나타나게 되지요.
이 시기에 아이들이 갑자기 책을 가까이에서 본다거나
눈을 찌푸린 채로 사물을 보려고 하는 등의 행동이 나타나진 않는지
부모님들께서 세심하게 지켜봐주셔야 합니다.
'뉴스&이벤트 > 밝은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즈삽입술에 대해 파헤쳐볼까요? (0) | 2012.07.17 |
---|---|
피부 타입에 따라 안질환이 다르다? (0) | 2012.07.16 |
눈을 위한 좋은 습관 들이기! (0) | 2012.07.14 |
부모님 건강검진-노안(老眼) (0) | 2012.07.14 |
라식라섹차이가 무엇일까요? (0) | 2012.07.13 |